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법 철저히 알려드립니다
아르바이트, 임시직, 계약직 등 근로 형태와 관례 없이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로자라면 적용이 되어야 합니다. 주휴수당의 계산방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휴일에 근무 중인 근로자와 주휴일에 근무하지 않는 근로자로 나눠집니다. 계산이 복잡하다고 생각하면 밑에 주휴수당 계산기를 누르시면 간편한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의 계산방법도 알아보았으니 주휴수당이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서 정하는 급여 외 수당입니다.
근로자를 활용하는 사용자는 주 1회 이상의 유급휴일, 즉 주휴일을 근로자에게 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조건은 2가지이며 2가지 다. 지켜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정근로일에 근무하고, 소정근로시간만큼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해당됩니다. 소정근로일이란?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 일하는 날입니다. 사업주와 주말에 일하기로 계약하였다면 토요일, 일요일이 소정근로일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1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해야 합니다. 1주에 15시간 미만으로 일을 하게 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위 2가지 요건 외에 생각해야 하는 사항은 퇴사일을 생각해야 합니다. 주휴일에 나의 근로계약이 유지되어 있어야지, 그 주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일이 일요일인 상황에 4가지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주휴수당 못 받는다?
정답은 X입니다. 5인미만 사업장이라고 해서 주휴수당을 안 줍니다. 이는 틀린 의견입니다. 5인미만 사업장도 예외 없이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이를 어길 경우 법에 따른 책임을 묻게 됩니다. 많은 사업주가 5인미만 사업장의 경우 연차 같은 유급휴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면 이 부분이 주휴수당과 헷갈려서 발생한 의견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깐 사업체의 규모가 작다고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불이익을 받으니 꼭 받으셔야 합니다.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는 소정근로일에 출근을 하지 않으면 못 받습니다. 즉, 1주에 1번이라도 결근을 하게 되면 그 주의 주휴수당은 받지 못합니다. 또한 1주에 최소 15시간 이상근무를 해야 하니, 1달을 기준으로 1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하지 않았을 때는 주휴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주휴수당 예외 상황이 있습니다. 바로 조퇴와 지각입니다. 조퇴와 지각으로 1주에 15시간 이상 실제근무를 하지 않아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소정근로시간과 실제근로시간을 같게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는 효력 3년이 지난 경우입니다. 주휴수당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기간은 3년입니다. 3년이 지나면 효력이 사라져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의 조건은 다음 주에도 근로가 예정되어 있고 한 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며 개근을 하였다면 지급이 됩니다. 하지만 도중에 입사를 하였거나 휴무, 결근한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지급이 어렵습니다. 다만 사업주의 지시에 의한 결근은 예외이며 잦은 지각 조퇴한 경우에도 결근으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다음주가 근로 예정인 자에게 지급이 되기 때문에 근로 마지막 주에 대해서는 지급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이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정리하자면 다음 주에도 근로가 예정이며 일주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며 소정 근무시간 동안 개근지각, 조퇴는 상관없음한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이 지급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의 수당 시급 8시간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주휴수당 1주일 총 근무시간 40시간 8시급 예를 들어, 시급 1만 원, 하루 4시간 근무, 일주일 5일 근무를 한다면, 1주일에 20시간 근로시간이 됩니다. 20시간 divide 40시간 x 8시간 x 10,000원 40,000원입니다. 어려운 걸 싫어하시는 분들은 아래 네이버 주휴수당계산기를 이용하면,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계산기 시급 탭에서 주급으로 환산을 선택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시 불이익
근로기준법상 명시되어 있는 이 제도에 근거하여, 지급하지 않을 경우 처벌 대상에 해당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신고 기간은 3년으로, 3년 이내 미지급과 관련하여 신고가 접수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아니면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게 됩니다. 해당 내용은 임금체불에 해당하는 것으로 반드시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니 요건을 꼭 참고하셔서 지급을 누락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조건은 2가지이며 2가지 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주휴수당 못
정답은 X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는 소정근로일에 출근을 하지 않으면 못 받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