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양식(무료)
고용주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해야한다는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과 근로기준법을 지켜야 합니다. 퇴직수당, 퇴직급여, 퇴직 보상금 등 여러 명칭으로 사용되는 퇴직금의 지급 기준인 결국 1년 이상 과 미만으로 나누어지는 것이지 근로의 형태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즉 근로자 누구나 1년 이상이 된다면 퇴직금을 받을수 있는 것이죠. 그렇다면 첫 차례 의문이었던 아르바이트생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은 이곳에서 이미 해결이 됩니다.
또한 근로의 형태도 상관없으며 외국인 근로자 또한 근로합의를 하고 업무를 수행할 경우 해당 되기 때문에 외국인 근로자는 제외라는 생각을 해서는 안됩니다.
쪼개기 근로
일명 쪼개기 근로라고 알려져 있는 방식은 근로형태를 계약 갱신이나 단기합의를 반복으로 1년을 초과하지 않도록 일을 유도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도 동일한 근로계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계속 근로기간으로 판단하고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판례가 있습니다. 개별근로계약이 1년 미만이라 할지라도 반복된 기간이 1년을 넘긴다면 이는 1년 이상 근로로 인정하고 퇴직금을 지급해야한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사업주의 악용 , 편법을 막기 위한 근로자 방어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주된 행위 중 하나입니다.
평균임금ABC퇴직 전 3개월 근무 일수
A, B, C 가 무엇인지는 곧 설명 드릴게요. 평균임금 지난 3개월간 근로자가 받았거나3개월 평균임금, 받았다고 칠 수 있는 것 모든 금액을 더한 뒤에 퇴직전 3개월의 일수로 나누어서 계산합니다. 받았다고 칠 수 있는 이란 말이 의미하는 것은 상여와, 연차수당입니다. 자, 그럼 A,B,C를 챙기어 볼까요. 넘버링은 고용노동부의 예시를 따랐습니다. 예외적인 경우로 통상임금이 평균임금보다.
클 경우, 근로자에게 유리한 통상임금으로 계산합니다. 통상임금이 평균임금보다. 커지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알바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
1년 이상 계속 근무하지 않은 경우, 즉 11개월 근무하면 퇴직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같은 사업장에서 사업주가 변경되어 근로기간을 합산하여 1년 된 경우 퇴직금을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다만 사업주가 변경 전 1년 이상 근무하였을 경우 전사업주에게 퇴직금을 받을 수 있고, 사업주가 변경되고 1년이상 근무하여야 퇴직금이 발생됩니다. 계속 근무가 아닌 간헐적으로 몇 개월 일하고 몇개월 쉬는 방식으로 일한 기간을 합산하여야 1년이 되는 경우라면 퇴직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1년 이상 계속 근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알바 근로계약서 확인 사항
임금은 회사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봉급, 그 밖에 모든 금품을 말합니다. 2023년 기준으로 최저임금 9,620원입니다. 2 소정근로시간 사업자와 근로자가 법정근로시간1일 8시간, 1주 40시간 내에 일하기로 합의된 근로시간으로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또한, 휴게시간을 제외한 근로시간만이 소정근로시간으로 인정됩니다.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 30분 이상, 8시간 이상인 경우는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합니다.
퇴직금 계산 예시
아직 머리가 복잡하니 예를 들어 볼까요. 2020년 10월 1일에 입사 2022년 8월 10일 퇴사한 퇴직자 G군이 있다고 칩시다. 먼저 이 친구의 퇴직전 3개월간 근무 일수를 구해보죠. 일반적으로 표기되는 퇴사일은 실제로 회사를 출근하지 않은 날입니다. 출근한 마지막 날이 아닙니다. 그러니 G군은 8월 9일까지 출근을 했겠네요. 8월 9일부터 9일이 계산 되고, 7월은 31일, 6월은 30일로 딱 떨어지니까 쉽게 더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3개월의 날짜를 구할때 걸쳐져 있는 달은 8월과 5월입니다. 5월달은 31일까지 있는 달이죠? 그러면 8월과 5월을 합쳐서 31일로 계산합니다. 3개월의 일수의 합은 92로군요. 그럼 이제 평균임금입니다.
퇴직금 지급 기한
퇴직금은 지급기한이 정해져있습니다. 사용자와 근로자의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날부터 14일 이내 지급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단 상호 간의 협의가 있을 경우 지급 기한을 미룰 수는 있습니다. 이럴때 주의할 점은 기간을 미룰 경우 해당 기간만큼 이자를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무작정 지급기한을 미루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지급기간을 미룬다는 것과 지체된 기간만큼 이자 지급은 전혀 다른 사안이기 때문에 협의 시 이 부분도 함께 협의가 되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쪼개기 근로
일명 쪼개기 근로라고 알려져 있는 방식은 근로형태를 계약 갱신이나 단기합의를 반복으로 1년을 초과하지 않도록 일을 유도 하는 방법입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평균임금ABC퇴직 전 3개월 근무
A B, C 가 무엇인지는 곧 설명 드릴게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알바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1년 이상 계속 근무하지 않은 경우, 즉 11개월 근무하면 퇴직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